반응형

부동산 35

[부동산] 3080+ 공공주도재개발 장점이 뭔가요?

[질문] 3080+ 공공주도재개발 장점이 뭔가요? [답변] 1. 인허가 간소화로 5년 이내 입주 가능. (평균 13년 -> 5년으로 단축)​ ​ 2. 주민들이 직접 민간시공사 선정. (LH는 시행만 수행) ​ 3. 일반 재개발보다 수익률 30%를 더 보장.​ 4. 실거주 의무 없음. 입주 후 실거주 의무가 없기때문에 매매 가능. ​ 5. 분양가 상한제 제외.​ 분양가 상한제 미적용으로 사업성이 좋아짐. ​ 6. 용적률 상향.​ 용적률도 민간재개발 보다 유리 ​ 7. 기부체납 개선.​ 토지면적의 20~25% -> 15%이내로 단축 ​ 8. 1+1 가능.​ 민간재개발과 동일하게 1+1 혜택 적용 ​ 9. 조합 비리 없음.​ LH가 시행을 하고 조합이 따로 없기때문에 조합 비리와 시공사의 공사비 부풀리기 관행..

3080+ 주택공급대책 제1차 선도사업 후보지 주민설명회 개최

"3080+ 주택공급대책 제 1차 선도사업 후보지" 대상으로 주민 설명회 개최 예정. 공공주도 3080+ 주택공급대책 사업의 빠른 추진 및 해당 주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온라인 생중계를 통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일시 : 2021년 4월 26일 (월요일) 15:00 2. 주최 : 한국토지주택공사 (LH공사, 공공주도 30380통합지원센터 (1670-3080)) 3. 대상자 : 9개 선도사업 후보지 내 토지소유자 1) 역세권 (4개소) : 연신내역 인근, 녹번역 인근 새절역 서측, 새절역 동측 2) 저층주거지 (5개소) : 녹번동 근린공원인근, 불광근린공원 인근, 수색14구역, 불광동 329-11일대, 증산4구역 4. 문의 : 도시계획과 02-351-7..

[부동산] 재개발로 집비울때 사용하지 않는 가구를 집에 놓고가도 되나요?

[질문] 재개발 철거를 위해 집비울때 안쓰는 가구나 버리는 물건들을 집에 놓고가도 되나요? [답변] 재개발 철거를 위해 이주 하는 경우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가구나 물건들을 집안에 놓고가면 가면 안됩니다. 집을 비우면 재거축 사무실에서 집 내부를 확인하기위해 재개발 조합용역 직원들이 나오는데 가구들을 놓고 가면 재개발 시행사에서 별도 비용으로 처리해야 하기때문에 퇴거확인서를 끊어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퇴거확인서가 없으면 이주비 청구가 불가능합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내용은 해당 재개발 관계자분들께 미리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3080 공공주도재개발 사업시행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질문] 3080 공공주도재개발 사업시행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답변] 1단계) 사업 제한 - 공공기관에서 사업 제안 ​ 2단계) 예정 지구 지정 주민 10% 동의서 제출 시 예정지구로 지정 ​ 3단계) 지구 지정 확정 예정 지구 1년 내 주민 67% 이상 동의서 제출 시 지구 지정로 확정 ​ 4단계) 민간 시공사 선정 주민이 직적 시공사 선정 ​ 5단계) 부지 확보 우선 공급 희망자는 선물현납 약정 우선 공급 미희망자에 대해서는 현금 보상 ​ 6단계) 인허가 용도지역 변경 + 지구단위계획 변경 + 건축기준 완화 ​ 7단계) 착공 및 입주 우선 공급 동 호수 선정 및 일반분양 실시

[부동산] 3080+ 공공재개발이 뭔가요?

[질문] 3080+ 공공재개발이 뭔가요? [답변] 공공주도 3080+란 정부가 주도하여 2025년까지 서울에 30만호, 전국에는 80만호 이상의 주택을 짓는다는 계획입니다. 지난 2월 4일 국토부는"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 공급 획기적 확대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3년 한시적으로 "공공 주택 특별법"을 만들어 기존 재개발 해제 지역, 역세권 고밀도 개발 및 준공업지역에 빠른 속도로 공공 주도형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상향과 같은 도시규제 완화와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의 사업성 개선 그리고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통해 빠른 사업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1 2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