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이사할때 미리 준비해야 할 사항과 이사 팁을 알려주세요.
[답변]
이사 당일에는 챙겨야 할 것도 많고 한번에 많은 일들을 해야 하기때문에 미리 준비해 놓지 않으면 중요한 사항을 놓치기 쉽습니다. 이사하기 전 / 이사한 후에 해야 할 일에 대해서 정리하여 답변 드리오니 이사 준비에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1. 이사 전 준비 사항
1) 필요 없는 물건 버리기
- 필요없는 가구 / 가전은 미리 버리기
- 1년 이상 입지 않은 옷은 과감하게 버리기
- 이사 당일에는 쓰레기봉투 100L 3장 정도 준비 (기존 집 / 이사하는 집 쓰레기 처리)
2) 냉장고 비우기
- 이사할 때는 냉장보관이 어려우므로 최대한 보관 중인 음식물을 미리 정리
- 이사 당일에는 최소한의 음식물만 보관
3) 가전제품 이전 신청하기
- 인터넷, 티비 이전 신청하기
- 정수기와 같은 렌탈 제품 이전 신청하기
- TV, 에어컨 등은 비용은 들지만 가전업체에 별도 신청하여 설치 신청을 하는 것이 좋다.
4) 중요 물건은 따로 보관하기
- 귀중품, 보석, 현금, 명품 등 값비싼 물건들은 미리 캐리어에 넣어서 본인 차에 옮겨두기
- 서류, 통장 등 잃어버리면 안되는 중요한 물건들도 따로 챙겨놓기
5) 현금 준비
- 막상 이사 당일 현금을 사용할 일이 많이 생기므로 미리 준비하기
6) 가구 배치는 미리 결정하기
- 이사 갈 곳 가구 배치를 완벽하게 구상해놓기
- 이사 당일 업체분들이 물어보면 바로 대답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7) 각종 요금 미리 정산하기
- 수도요금 : 이사 당일 관할 수도사업소에 전화하여 요금 납부 하기.
- 전기요금 : 이사 당일 한전 고객센터 (국번 없이 123)에 전화하여 전기 요금 납부하기.
- 가스요금 : 이사하기 3일 전 도시가스 지역센터로 연락해서 이사 날짜를 알려주고 방문 일자 잡기
8) 자동이체 해지
- 수도세 / 도시가스 / 아파트 관리비의 자동이체 해지하기
9) 매수인분께 전달드릴 물품 따로 보관하기
- 공동현관 출입카드
- 음식물 쓰레기 카드
10) 음료 챙기기
- 이사 업체 분들에게 드릴 시원한 음료수 준비하기
2. 이사 후 해야할 일
1) 전입신고 / 확정일자 받기
-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 신분증 및 주택 임대차 계약서 원본 또는 사본을 소지하고 이사한 지역의 동사무소에 방문하면 확정일자를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 전세나 월세 세입자의 경우에는 가능한 이사 당일에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를 받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확정일자를 받아야 임차권에 대한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을 갖게 됩니다.
2) 금융거래 주소, 우편물 주소 변경
-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에 연결된 주소를 변경하지 않으면 이전 주소로 개인 정보가 담긴 우편물이 발송될 수 있습니다.
- 거래 중인 금융기관에 문의하거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또는 '원클릭'서비스' 홈페이지 (www.ktmoving.com)를 통하면 일괄 변경이 가능합니다.

'부동산 > 부동산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재개발절차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0) | 2021.12.05 |
---|---|
[부동산] 이사 체크리스트를 알려주세요 (0) | 2021.05.28 |
재개발 시 세입자 보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주거 이주비 / 이사비 / 임대주택) (1) | 2021.05.23 |
[부동산] 전세 계약 만료전에 집주인이 나가달라고 하면 세입자는 어떤 보상을 요구할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이사비 / 복비) (0) | 2021.05.18 |
[부동산]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