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골프/골프 레슨 41

[골프] 벙커 샷 실수 원인과 해결방법 (고덕호 프로)

1. 벙커 샷 실수 원인 1) 볼 위치 등 셋업 오류 - 숏 게임은 셋업이 90%이다. - 정확한 셋업과 체중분배가 중요하다. 2) 너무 강하게 치려고 한다. - 부드럽게 채만 빠져나오게 쳐야 한다. - 과도하게 힘을 쓰면 임팩트가 부정확해진다. - 클럽만 가볍게 툭 떨어뜨려야 한다. 3) 몸을 사용하지 않고 너무 고정시킨다. - 몸은 고정한채 팔로만 치려는 경향이 있다. 2. 벙커 샷 방법 1) 올바른 셋업 - 오픈스탠스 (클럽 페이스는 타켓방향) - 공위치는 배꼽 앞 또는 배꼽보다 약간 왼쪽 2) 몸통회전 - 팔로만 치면 안된다. - 다운 스윙 시 골반도 함께 회전

[골프] 훅 교정법 3가지 (임진한 프로)

훅 교정법 3가지 1. 머리를 공 뒤가 아닌 공 앞에 둔다. 볼의 탄도는 낮아지지만 절대 훅이 나지 않는다. 2. 아웃 인 궤도로 스윙한다. 아웃 인 궤도는 슬라이스 구질을 유발하기 때문에 훅이 나는 사람이 아웃-인 궤도로 스윙을 하게 되면 똑바로 갈 수 있다. 3. 완전히 왼쪽으로 에이밍한다. 오히려 왼쪽으로 에이밍을 서게 되면 몸이 스스로 보상동작을 하게되어 훅이 방지 될 수 있다.

[골프] 훅이 발생하는 3가지 원인 (허석 프로)

훅이 발생하는 3가지 원인 1) 스트롱 그립 스트롱 하게 잡으면 잡을수록 손목 로테이션 하기가 쉽다. (헤드를 닫기가 쉽다.) 반대로 위크하게 잡으면 잡을수록 손목 로테이션 하기가 어렵다. 2) 낮은 백스윙 탑 백스윙 탑이 낮으면 샤프트가 크로스가 되면서 인아웃 궤도로 다운스윙 하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 3) 배치기 다운 스윙때 허리가 회전하지 못하고 막히면서 배만 몸 앞으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배치기 현상이 발생하면 과도한 인아웃 궤도가 발생하게 된다.

[골프] 훅 안나는 꿀팁 (최나연 프로)

피니쉬 자세로 훅구질 고치는 방법 1. 훅이 나는 경우 1) 오른쪽 어깨가 높아지는 경우 2) 샤프트가 눕혀져서 넘어가는 경우 3) 오른쪽 엘보가 올라가는 경우 2. 훅 해결방법 피니쉬 자세만 바꿔도 구질을 바꿀 수 있다. 1) 오른어깨는 왼 어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유지하기 2) 샤프트를 서있는 느낌으로 휘두르기 오른 엘보우가 올라가고 왼어깨가 올라간다는건 그만큼 손목을 많이 썼다는 의미이다. 피니쉬 자세에서 샤프트가 누워져 있는것도 동일한 의미이다. 따라서 피니쉬 자세에서 "오른어깨 올리지 않기", "샤프트 세우기" 두가지만 생각한다면 훅구질을 고칠 수 있다.

[골프] 약간빠름 기준 퍼팅 계산법 (골프존 오피셜)

안녕하세요 골프존 유튜브에서 공식적으로 알려주는 약간빠름 기준 퍼팅 계산법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골프존에서 직접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 정확한 정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1. 볼스피드 거리별 볼스피드를 알고있어야 오르막 또는 내리막 계산을 할 때 정확환 거리를 알 수 있다. 보다 정확한 거리계산을 위해서는 거리별 볼 스피드를 암기해 두는 것이 좋다. 2. 컵수의 기준 캐디가 알려주는 1컵이란 홀컵 중앙이 아닌 홀컵 끝이 기준이다. 예를들어 오른쪽 1컵이란 오른쪽 홀컵 끝단에서부터 1컵 떨어진 거리를 의미한다. 3. 공 놓는 위치 정확한 컵수 계산을 위해서는 항상 공을 일정한 위치에 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퍼팅을 하기 위해 공을 놓을때는 항상 러프 끝선 기준 공 1개 안쪽에 놓습니다. (..

[골프레슨] 퍼트는 스트로크보다 어드레스가 중요! (SBS Golf)

퍼트는 스트로크보다 어드레스가 중요! 1. 어드레스 자세 1) 손목을 너무 내려잡을 경우 (토우가 들리는 경우) ▶ 손목을 많이 쓰게 되므로 공이 왼쪽으로 향한다. 2) 손목을 너무 올려잡았을 경우 (힐이 들리는 경우) ▶ 손목을 못쓰게 되므로 공이 오른쪽으로 향한다. 3) 토우와 힐이 모두 지면에 닿도록 어드레스 해야 한다. ▶ 팔은 샤프트와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2. 공과 발의 거리 1) 공과 발이 가까운 경우 ▶ 당겨치면서 공이 왼쪽으로 향한다. 2) 공과 발이 먼 경우 ▶ 밀어치면서 공이 오른쪽으로 향한다. 3) 가장 이상적인 공의 위치 ▶ 왼쪽눈에서 수직으로 공을 떨어뜨린 위치가 가장 이상적인 공의 위치이다.

반응형